사람들은 투자 고수 또는 투자 대가라고 불리어지는 사람들의 책, 강연, 관련 자료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보는 것은 그 사람이 아니라 아마도 그 사람들의 투자전략 혹은 그들의 투자 방법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의 투자전략이나 투자방법은 그들의 직업, 성향, 자금규모, 투자기간 등 자신의 상황에 맞게 만들어진 전략입니다.

 

, 그들의 투자전략을 100% 모방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책이나 글로 전달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과거부터 현재까지 성공한 투자전략이 지속적으로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그러나, 투자를 통해서 수익을 얻고자 한다면 그들의 투자전략을 살펴볼 필요는 반드시 있습니다. 대신, 그들의 투자전략을 그대로 따라하기보다는 자신의 현황(직업, 자금규모, 투자 관련 지식 등), 성향 등을 고려해서 투자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투자 전략을 실행하기 전에 가능하면 테스트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 자료를 근간으로 투자전략을 검증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주식이라면 모의투자를 통해서 투자전략에 대한 검증과 자신의 투자성향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의투자를 할 때 투자금액을 임의로 정하지 말고 실제로 본인이 투자할 수 있는 금액으로 정해서 투자에 임할 필요가 있습니다.

 

100% 성공을 보장하는 주식 투자 전략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투자 전략이 없는 상태에서 주식에 투자해서 손실을 입게 되면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가 없고 지속적인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를 할 때 기억에 의존하기보다는 기록을 남겨둘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은 손실을 본 투자 전략이지만 손실을 통해서 투자전략을 수정하면 다음 투자에서는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자기만의 투자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 전략이 상한가 따라잡기든, 기술적 분석 투자 전략이든, 기본적 분석 투자 전략이든 상관없습니다.

단적인 예로 허영만 주식 웹툰을 보면 투자 방법은 각기 다르지만 모두 수익을 얻고 있는 투자 고수들입니다. 투자 방법을 보면 저평가 투자, 배당주 투자, 단타, 스윙, 수급 매매 등 다양합니다. , 방법 또는 전략도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서론이 매우 길었는데 먼저 주식 가치에 대한 저의 견해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주가는 평균으로 회귀한다.

둘째, 주가는 (단기적으로) 전년동기대 실적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주가는 자기자본이익률(ROE)와 주당순자산(BPS)에 수렴한다.

넷째, 주가는 누적 주당순이익(EPS), 누적 영업현금흐름에 수렴한다.

다섯째, 주가는 배당률 가치에 수렴한다.

 

주식에 대한 상기 견해를 기준으로 저평가, 고평가로 분류하고 제가 정한 ROE, 부채비율, 최대주주지분율, 분기실적이 미달하면 검토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첫째, 현재 기준으로 PER, PBR이 과거 3년 또는 5년 평균값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로 본다. 계산한 기업가치보다 낮더라도 고평가 영역이면 보수적으로 접근한다.

둘째, 종목 PER이 업종 PER 또는 시장 PER보다 높으면 고평가로 보고 보수적으로 접근한다.

셋째, 종목 ROE가 업종 ROE보다 낮거나 10% 미만이면 검토 대상에서 제외한다.

넷째, 부채비율이 100% 이상이면 검토 대상에서 제외한다.

다섯째, 최대주주 지분이 20% 미만이면 검토 대상에서 제외한다.

여섯째, 전년동기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역성장했다면 검토대상에서 제외한다.

 

상기기준으로 나온 종목을 업종별로 분류합니다. 그 다음에 업종 중 가장 저평가 되어 있는 종목을 검토합니다.

 

종목은 실적, 투자지표, 업황, 투자자별 동향을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차트를 확인합니다.

 

최근 실적, 투자지표는 Fnguide, NICE평가정보 등을 통해서 확인하고 투자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세부적인 사항을 검토합니다.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종목을 검토하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초기 검토는 엑셀을 이용해서 실적, 투자지표 추세를 확인하는 편입니다.

 

처음부터 세부적인 검토를 하면 좋겠지만 검토하지 않아도 되는 종목을 검토하는 것은 시간낭비이기 때문에 종목 체크리스트를 통해 처음부터 검토할 종목만 리스트로 만들어 놓습니다. 물론, 종목을 검토하는 중에 급등하는 종목도 있지만 이는 투자하는 과정 중의 하나로 생각하면서서 다음 기회를 기약하고 종목 검토를 마무리합니다.

 

 최근에 종목을 핉터링하다가 나온 종목이 삼성전자입니다. 지금은 가격이 다시 올라서 제 기준으로 고평가주로 평가되는데 분석사례로 올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삼성전자 기본검토.p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