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선의 규칙

1. 하락하는 가격이 상승 추세선에 근접하는 상황은 종종 주추세 방향으로 포지션을 취한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2. 상승하는 가격이 하락 추세선에 근접하는 상황은 종종 주추세 방향으로 포지션을 취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3. 상승 추세선의 돌파(특히 종가 기준으로)는 매도신호이다.

 

4. 하락 추세선의 돌파는 매수 신호이다.

 

5. 하락 추세 채널의 아래선 부근과 상승 추세 채널의 윗선 부근은 단기 투자자들이 이윤을 취할 수 있는 잠재적인 영역이다.

 

  <출처: 기술적 분석 못하면 절대 주식 투자 하지 마라. p 54>

책의 내용을 일반 투자자의 주식 투자(매수, 매수 청산만 가능) 관점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1. 상승 추세에서 주가가 하락하여 상승 추세선에 근접하는 경우 매수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2. 하락 추세에서 주가가 상승하여 하락 추세선에 근접하는 경우 매도할 필요가 있다.

 

3. 주가가 상승 추세선을 종가 기준으로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볼 수 있다.

 

4. 주가가 하락 추세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로 볼 수 있다.

 

5. 주가가 하락 추세 채널의 하단에 근접하는 경우 매수 청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영역이다.

 

[사례]

 

* 추세선 매매는 주관적인 판단이 많이 개입되는 매매 전략으로 투자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기술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 의미와 활용  (0) 2019.05.03
노이즈 필터링  (0) 2019.05.02
볼린저밴드 & 파라볼릭 & MFI밴드  (0) 2019.04.30

주식 투자에서 추세 분석은 주식 투자의 시작이면서 끝이라고 볼 수 있다.

혹자는 차트 분석의 기본적 목표는 추세를 분석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하였다.

 

추세에 대한 주관적인 의견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분석 기간이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추세는 상당히 주관적인 판단이 많이 개입되는 기술적 분석 방법이다.

 

추세에서 강조하는 것은 상대적 고점(Relative High), 상대적 저점(Relative Low)이다.

 

즉, 현재 주가와 이전 주가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데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현재주가는 종가일 수 있지만, 이론대로라면 비교하는 대상은 고가와 저가라고 볼 수 있다.

 

추세 정의대로 주가를 분석한다면 현재 주가와 이전 고점 또는 이전 저점의 상대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추세 분석의 시작이다.

 

주식에서 말하는 추세는 주가가 일정기간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일정 기간의 고점과 저점 구간에서 주가가 횡보하는 것은 제외한다.

 

일반적으로 주가의 추세는 전체 기간 중 30~40% 정도이고 나머지는 비추세 즉, 횡보장이라고 알려져 있다.
만약, 주 추세를 확증할 수 있는 구간으로 제한한다면 실제 추세 기간은 30% 미만일 것이다.

 

일반 투자자는 국내 주식 투자에서 매수, 매수 청산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승 추세일 경우에 투자를 한다면 실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는 제한적이다.

 

상승 추세에 투자를 한다고 가정을 하면 실제 투자 기회는 연간 70~80일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론적으로 보면 실제 수익이 발생하는 구간은 전체 구간에서 10~20% 정도 즉, 20~40일 정도인데 이 구간을 맞추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런 부분 때문에 추세를 이용한 투자 전략은 자금 관리 전략과 함께 사용하기를 권한다.

 

만약,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중장기 추세 방향으로 투자를 하는 것을 권한다.

 

예를 들면, 중장기 추세가 상승 추세인데, 단기 추세가 하락 한 후에 상승 할 때 매수하는 것이다.

 

 

 

'기술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 매매 기본 전략  (0) 2019.05.04
노이즈 필터링  (0) 2019.05.02
볼린저밴드 & 파라볼릭 & MFI밴드  (0) 2019.04.30

주의!!! 아래 소개한 기술적 분석 지표 또는 계산방법을 이용한 주가 해석은 주관적인 판단입니다.

 

□ 명칭

 

    - 노이즈 필터링

 

□ 공식

 

    - 1 - (abs(시가-종가)) ÷ (고가 - 저가)

 

□ 개념 이해

 

    - 캔들 차트에 대한 개념과 캔들의 형태를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일정 기간의 주가 변동률 또는 주가 변동률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입니다.

 

    - 공식의 의미

 

      → 고가에서 저가를 뺀다는 것은 ? 당일의 주가 변동폭 계산.

 

       시가와 종가 차이의 절대값은 ? 시가에서 종가까지 변동폭.

 

      → 즉, 주가 전체 변동폭에서 시가에서 종가까지의 변동폭의 비율 계산.

 

      → 이 값을 1에서 빼면 꼬리의 변동폭 즉, 변동률이 계산됨.

 

    - 시가와 종가가 같은 도지형의 값은 1로 주가 변동률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꼬리가 없는 양봉 또는 음봉의 경우 값은 0으로 주가 변동률이 작다 혹은 없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활용 방법

 

    - 값이 산출되는 원리를 이용하면 특정 캔들을 검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꼬리가 없는 장대 양봉을 검색한다고 하면?

 

     노이즈 필터링 값이 0이고 당일 종가가 시가보다 큰 조건으로 검색하면 됩니다.

 

   - 관심 종목 또는 지수의 변동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코스닥, 다우산업, 나스닥, S&P500의 값을 구해보면?

지수 252일 평균 20일 평균
코스피 0.52 0.55
코스닥 0.43 0.43
다우산업 0.54 0.65
나스닥 0.52 0.57
S&P500 0.52 0.53

□ 코스닥 적용 사례

- 하단에 노이즈 필터링을 적용한 경우인데, 이 자체로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 약간의 조정을 통해서 보겠습니다.

- 변동률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일 대비 값이 크면 주황색, 작으면 파랑색으로 표시합니다.

 

- 변동률 이평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서 5일 평균값을 표시합니다.

 

- 주가와 변동률을 단순 조건을 조합해 보면 횡보를 제외하고 4가지 조건입니다.

 

  매매하기 쉬운 경우는 주가는 상승하고 변동률 즉, 노이즈 필터링 값이 0에 가까운 경우입니다.

 

  매매하기 어려운 경우는 주가는 상승하고 노이즈 필터링 값이 1에 가까운 경우입니다.

 

  노이즈 필터링이 1에 가깝다는 것은 꼬리가 달린 캔들이 많다 즉, 주가 변동률이 컸다는 것입니다.

 

- 만약, 주가, 노이즈 필터링 값이 동시에 하락한다는 것은 하락 추세가 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이즈 필터링 값을 캔들과 동일하게 나타내면 해석하는데 있어서 편리할 수 있습니다.

- 양봉이면 주황색, 음봉이면 파랑색으로 표시한 노이즈 필터링입니다.

 

- 해석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0에 가까울 수록 꼬리 비율이 적은 즉, 매수세 또는 매도세가 강한 경우입니다.

 

  1 또는 -1에 가까우면 변동률 또는 변동성이 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술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 매매 기본 전략  (0) 2019.05.04
추세 의미와 활용  (0) 2019.05.03
볼린저밴드 & 파라볼릭 & MFI밴드  (0) 2019.04.30

□ 데이트레이딩 전략 개요

    - 이슈 종목, 이슈 소멸 여부

    - 거래량 폭등 후 하락하면서 기술적 반등

    - 거래시간 : 장후 최대 1시간

      * 일일 거래량 중 장초반, 장후반 1시간이 당일 거래량 50% 내외

    - 모니터링 기간 : 최근 20~60일

    - 트레이딩 차트 : 1일, 1분, 5분

    - 매매전략 : 분할 또는 일시 매수 후 일괄 매도

    - 목표수익 : 1~3% (손익비 : -1~3)

 

□ 주요지표 및 목적

    - 볼린저 밴드 : 가격 추세, 지지선, 저항성

    - 파라볼릭 : 추세 지속성, 손절 지표

    - MFI밴드 : 가격 확증 지표

 

□ 투자 개요

    - 날짜 : 2019. 4. 30 09:00 ~ 10:00

    - 종목 : 한질칼

    - 특징

      → 이슈 종목, 이슈 지속

      → 주가, 거래량 감소 후 주요 지지선(이평, 파라볼릭, MFI) 근접

      → 전 저점 하락 이탈 시 0.6% 손실, 세금 수수료 고려시 1% 손실

      → 최대 손실 2%, 최대 수익 5.2%(수수료, 세금 미고려)

    - 동시간 대비 거래량 증가하면서 주가 상승시 매수 관점

 

□ 투자 결과 (모의테스트)

   - 투자금액 : 1천만원

      * 일반적인 데이트레이더 금액 (1~3천만원)

   - 매매수수료 및 세금 : 0.35%, 0.3%

   - 일간 차트 (일반 지표를 표준 지표로 변경해서 적용함.)

- 5분봉 차트

- 전일 동시간대 거래량 갱신 & 주가 급등

- MFI 패턴: MFI 상대고점 대비 하락 시 주가 급락

- 진입 효율 양호, 청산 효율 비효율적 (매수가 대비 매도기준: 4.37%→ 2.45%)

- 최종 수익률 점검

■ 보완 사항

  - 종목 선별 기준 계량화

  - 지표별 표준편차 커버 비율 검증

  - 주가 상대강도에 따른 투자금 비율 조정에 따른 손익비 검증

'기술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 매매 기본 전략  (0) 2019.05.04
추세 의미와 활용  (0) 2019.05.03
노이즈 필터링  (0) 2019.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