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세미콘은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고 주요사업은 반도체 제조 장비,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태양전지 제조장비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통해 현재 주가의 적정성과 투자여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2016년도의 사업보고서 내 영업보고서와 2017년 1분기 사업보고서를 일고 회사와 업황을 살펴보겠습니다.
I. 영업보고서 (2017.3.31)
1. 회사의 개황
가. 회사의 목적
당사는 다음 각호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반도체 장비, 재료, 부품의 제조 및 판매
2. 디스플레이 장비, 재료, 부품의 제조 및 판매
3. 태양전지 장비, 재료, 부품의 제조 및 판매
4. 미세공정용 장비, 재료, 부품의 제조 및 판매
5. 상기 제품의 수출입업
6. 부동산 임대업
7. 전술한 목적에 부수되거나 도움이 되는 일체의 행위
나. 중요한 사업의 내용
1) 반도체 제조 장비
당사는 국내의 반도체 제조업체인 주요 고객과 긴밀한 협조를 통한 국내 판매 전략을수립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주력 장비인 300mm Vertical 열처리 장비 이외에 Device가 급속한 집적화에 따라 기존 CVD 공정이 ALD 공정으로 대부분 대체되고 있어 ALD 장비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처 다변화를 위한 해외시장 공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현지 법인과의 제휴관계 구축으로 미국, 일본, 대만, 중국 등의 업체와 접촉하고 있습니다.
2)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디스플레이 시장은 AMOLED와 더불어 Oxide TFT가 기존의 TFT-LCD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 중소형 위주의 패널 생산에서 향후 TV 등으로의 적용을 위해 대형 패널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5년부터 개발을 시작한 고온 열처리 장비를 국내, 외에 4.5G 장비 납품을 시작으로 2009년에 세계 최초로 대면적 유리 기판을(>5.5G) 고온에서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독창적 장비를 개발하였고, 2010년부터 주요 고객사의 5.5G 및 8G 양산라인에서 AMOLED제조용 고온 열처리공정에 독보적 수준의 장비납품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장 변화에 발 맞추어 지속적인 장비 개발로 2014년 상반기에는 주요 고객사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인 Flexible OLED용 6G PI cure 공정을 독점 수주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에는 주요 고객사의 5.5G PI cure 및 LTPS Furnace에 대하여 독점 수주하기에 이르렀습니다.
3) 태양전지 제조 장비
실리콘 wafer가 아닌 대면적 유리기판 위에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기술은 향후 태양전지가 나아가야 할 기술 집약적인 산업입니다. 당사는 국내 주요 고객사와 국가5대 전략 기획과제의 하나인CIGS 박막 태양전지 장비 중 핵심 공정장비인Selenization 장비를2011년2G 장비를 납품하여 기본 개념을 검증 받았고, 현재 세계최초의5G 고 생산성 양산 장비를 개발하여2012년11월 납품 완료하여 성능을 인정 받았습니다.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 장비를 만드는 것이 주요 사업영역이고 해당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2. 영업의 경과 및 성과
가. 업계의 현황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은 전방 산업인 반도체 소자기업 및 디스플레이 패널제조기업의 경기변동 및 설비투자에 중요한 영향을 받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수급상황 즉, 공급부족에 의한 활황과 이후 제품개발 후 설비투자 완료에 따른 공급초과로 인한 불황이 반복되는 실리콘 사이클(Silicon cycle)을 보여왔으며, 보통 약 3~4년 주기로 경기변동이 반복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반도체시장이과점체제로 재편돼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PC용 제품에서 복합응용, 모바일 및 서버향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 또한 반도체 산업과 유사하게 통상 30~36개월을 주기로 나타나는 경기변동 사이클을 보여 왔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양산을 위한 투자규모가 크고 투자에서 생산까지 일정한 시차가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초과수요 또는 초과공급 현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Major LCD 고객들의 중국 공장 건설 및 중국 Local 고객들의 투자가 재개되고 있고, 기존a-si TFT LCD 위주의 디스플레이에서 Oxide TFT LCD, AMOLED, Flexible 등과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존 노트북, 모니터, TV등과 같은 전통적인 디스플레이에 새로운 응용범위를 부가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한 응용범위 확대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공급부족 상태인AMOLED의 경우 중국 패널업체들의 투자가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존 LCD 산업과 유사하게 AMOLED 시장에서도 선두업체는 역시 선제적인 투자와 양산능력 확보로 경쟁기업들과의 격차를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전문 시장 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AMOLED 산업은 OLED TV가 향후 size의 확대 및 UHD 급으로 고급화하며 2015년 3200만대에서 2018년 8000만대 규모로 급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삼성과 Apple이 주도해온 스마트폰 시장은 high-end 시장의 성장 둔화와, 중저가 시장의 확대 가속화로 인하여 시장 점유율을 급속히 확대한 중국 local maker 역시 중국시장의 성장률 둔화우려로 인하여 고품질 대화면 化의 경쟁에 가세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와 같은 시장 변화는 고객사의 flexible OLED 투자와 중국 내 display maker들의 OLED 및 LTPS LCD 투자를 크게 유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Tablet PC 시장 역시 Apple의 M/S가 '13년도 45%에서 '14년3Q 22%까지 하락하는등 high-end 제품 maker의 차별화가 없어지고 있어, ipad에 기존 a-Si TFT에서 Oxide TFT 채용으로 고품질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15년 상반기에 고객사의 Oxide TFT 양산라인 투자가 이루어지는 등 향후 지속적으로 고객사의 OxideTFT 라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테라세미콘은 업종 사이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방 산업인 반도체 소자기업(삼성전자 등), 디스플레이 패널제조기업(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의 업황도 함께 볼 필요가 있습니다.
언론 보도 및 전문 기관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는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고 합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업종의 경우 차세대 OLED 생산을 위해 공장을 건설하거나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나. 업계의 특성
1) 급속한 기술혁신이 요구되는 산업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공정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므로, 고도의 장비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차세대 공정기술의 전개방향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준비하지 않는다면 기술력에서 뒤질 수 밖에 없습니다.
→ 매년 상당 금액을 연구개발비용으로 지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열처리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갖춘 업체라고 할 수 있음.
2)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
장비산업에서는 대규모 시설투자를 통한 생산라인의 확대 보다는 기술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우수한 인프라 구축,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전방업체들과 유기적인 관계형성이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선진입하여 기술 및 제품을 검증 받은 기업 위주로 재 발주 및 차세대 라인에 대한 개발 기회가 주어지고 있어 신규업체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 신규업체의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업황이 나쁘지 않다면 꽤 높은 마진을 얻을 수 있음.
3)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중견 중소업체에 적합한 산업
주문제작에 의해 장비가 제작되므로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나 매출처에 따라 장비의 사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장비의 생산기간이 비교적 장기로 생산수량에 있어서도 제한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산 형태는 대량의 양산체제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대형업체보다는 중소업체에 적합한 산업입니다.
다. 영업의 경과
1) 반도체 제조 장비
반도체 산업은 Mobile 시장 동향에 따라 고객의 장비투자 양상은 최근 Logic, Flash Memory, DRAM 모든 분야에서 장기 예측이 힘들 만큼 급변하고 있습니다. 장비능력에 대한 시장의 요구 또한 막의 두께, 온도의 관리에 있어서 극한적 수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고온 Oxidation 및 Anneal 공정에서는 보다 엄격한 온도 범위 내에 관리해야 하고, 박막(CVD) 형성에서도 두께 산포를 극단적으로 최소화하는 관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누적출하 200여대를 넘긴 300mm Oxidation 장비는 고온 공정에서도 완벽하게 device의 요구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며, 중/저온 범위의 각종 Oxidation/Anneal 공정에서는 완벽한 온도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사 내에서 독보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AMOLED 및 Oxide-TFT를 시작으로 확대되고 있는 고품질 디스플레이는 종래의 LCD에서 요구 되던 가공 온도보다 훨씬 높은 고온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고온 공정은 온도의 균일도는 물론이며 glass의 변형 최소화와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가공 기술 및 장비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당사는 2004년부터 개발을 시작한 고온 열처리 장비를 고객사에 2006년 4.5G 장비 납품을 시작으로 2008년에 세계 최초로 대면적 유리 기판을(>5.5G) 고온에서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독창적 장비를 개발하였고, 2010년부터 고객사의 5.5G 및 8G 양산라인에서 여러 개의 고온 열처리 공정에 거의 독보적 수준의 장비납품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고품질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끌어 갈 Flexible 디스플레이 또한 전술한 공정 장비와 더불어 향후 mobile향 AMOLED의 주력 제품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독창적 개념으로 개발 완료한 PI curing 장비를 독보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014년 2분기 주요 대형 고객사가 단행한 6세대 Flexible OLED 라인 투자에 당사는 PI cure 공정을 독점 수주 받는 등 일반 열처리까지 확대 수주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에는 5.5세대 Flexible OLED 라인 투자에 당사는 PI cure, LTPS Furnace에 대하여 독점 수주하였습니다.
Oxide-TFT LCD는 기존 비정질 TFT LCD를 급속히 대체할 것으로 판단되며 대부분 device maker들이 이미 양산 파일럿 라인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Oxide 물질 또한 charge mobility 향상을 위해서 고온 열처리가 필수적인 바, 당사는 고객사에2011년부터 5G, 7G 및 8G Pilot라인에 Oxide용 고온 열처리 장비를 공급하였습니다. 2차 고객(set maker)들이 Tablet 제품에 대거 Oxide TFT를 채용 계획함에 따라 고객들(device maker)의 본격적인 장비 투자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3) 태양전지 제조 장비
결정계 Solar cell을 대체할CIGS 제조과정에서Selenization 공정은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입니다. 2011년 당사는 열처리 분야 특화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사와 컨소시엄을구성하여5G CIGS 국책과제(Selenization) 장비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개념검증과 선행개발을 위하여2G 장비를2011년 납품 후 개발 완료하였으며, 2012년11월5G 양산 장비를 납품하였습니다.
라. 주요 사업부문별 매출실적
디스플레이 매출액 비율이 상당하므로 디스플레이 업황을 최우선으로 살펴봐야 할 것 같고 추가적으로 반도체 업황도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업체인 비아트론도 함께 분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업황이 좋아서 매출액이 급등한것인지 아니면 테라세미콘의 기술적이 너무 뛰어나서 그런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I. 사업보고서 (2017.5.15) - 주요내용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35억원임.
- 단기금융상품(예금)은 5.5억원임.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MMF, 채권형펀드, 전자단기사채등)은 726억임.
즉, 현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자산은 총 866.5억원으로 시가총액의 25%임.
III. 주요 주주 현황
- 가치투자자문 지분 증가 (4.93 → 5.47, 2017.4.27)
-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지분 감소 (9.76 → 8.97, 2017.3.9)
- 주주간 대량매매 (삼성디스플레 보유 지분 → 원익홀딩스, 2017.2.24)로 원익홀딩스(현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13.71 → 25.09
IV. 투자의견 컨세서스
(1) 목표주가: 37500
(2) EPS: 3475
(3) PER: 8.7
(4) 추정기관수: 7
V. 차트분석 및 투자여부를 첨부 파일을 참고 바랍니다.
'종목분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 현황 검토 (0) | 2017.07.17 |
---|---|
하반기 포트폴리오 검토 (0) | 2017.07.12 |
트리플 증가_사람인에이치알 (0) | 2017.05.29 |
트리플 증가_한창제지 (0) | 2017.05.27 |
트리플 증가_현대리바트 (0) | 2017.05.25 |